Product Manager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 이미준]

Moment Traveler 2022. 5. 18. 23:51

내가 아는 한 한국에서 PM은 기획자의 역할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수의 채용 Job Description에도 기재되어 있는 걸 보면 알 수 있다. 서비스 기획 업무를 접할 수 있는 책을 찾아봤고,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이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전반적으로 '데이터에 근거한 객관적 사고'의 중요성에 공감했다. 현재 개발자로서 기획자의 산출물을 접할 기회가 있었다보니, 책 내용은 어렵지 않았다. 익숙한 그림과 단어들도 있었지만, 그간 궁금했던 부분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새로운 지식도 습득할 수 있었다.

서비스의 성장을 고려한 서비스 기획 (P.74)
하나의 비즈니스가 탄생하려면 시장 분석을 통해 만들어낸 전략과 수익 구조, 그리고 이것을 시스템으로 반영하는 프로세스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 모두를 모아놓은 개념이 바로 '비즈니스 모델'이다. 비즈니스 모델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운영하며, 돈을 벌겠다는 것인지를 정리한 아이디어를 말한다.
 비즈니스 모델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라고도 불리는 9블럭 모델이다. 이 모델은 기업이 함께 일하고 있는 파트너와 내부 역량을 동원하여 어떤 채널과 방법으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정리하고 이 과정에서 필요한 비용과 수익을 계획한 것이다.

출처: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P.75

 

UX 분석 방법론

출처: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P.111

P.111
모든 연구의 과정이 그렇듯 UX 분석도 '관찰'과 '추론'으로 이루어진다. 관찰에는 감정에 공감하거나 이해하는 '정성적 분석'과 수치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는 '정량적 분석'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가설을 검증하는데 '연력적 방식'과 '귀납적 방식'으로 범주를 나눠볼 수 있다. 즉 정성적 혹은 정량적 분석을 하기 전에 미리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연역적 방식이 있고,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면서 UX 결론을 이끌어내는 귀납적인 방식이 있다.